(세종=뉴스와이어) 2013년 04월 10일 -- 2013년 3월 고용동향

1. 주요 고용지표 동향

1) 개관

(취업자 증감) ‘13.3월 취업자(2,451.4만명)는 전년동월대비 24.9만명 증가

* 취업자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35.3 (12)27.7 (’13.1)32.2 (2)20.1 (3)24.9

<민간(공공행정 제외)> <39.6> <30.3> <34.8> <20.9> <26.5>
<공공행정> <△4.3> <△2.6> <△2.6> <△0.8> <△1.6>

(고용률) 취업자 증가폭 둔화에 따라 고용률(58.4%)은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 고용률(%): (‘12.11)59.7 (12)58.3 (’13.1)57.4 (2)57.2 (3)58.4

- 전년동월비(%p): 0.0 △0.2 0.0 △0.3 △0.2

ㅇ 15~64세 고용률(OECD 비교 기준)도 63.4%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 15~64세 고용률(%): (‘12.11)64.5 (12)63.7 (’13.1)63.0 (2)62.7 (3)63.4

- 전년동월비(%p): 0.1 △0.1 0.0 △0.3 △0.2

(경제활동참가율) 경제활동인구는 전년동월대비 18.7만명 증가, 경제활동참가율(60.5%)은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 경제활동참가율(%): (‘12.11)61.4 (12)60.1 (’13.1)59.5 (2)59.6 (3)60.5

- 전년동월비(%p): 0.0 △0.2 0.0 △0.4 △0.4

ㅇ 비경제활동인구는 전년동월대비 35.9만명 증가

- 재학·수강 등(+13.6만명), 연로(+12.9만명), 가사(+11.7만명)는 증가한 반면, 쉬었음(△6.8만명) 등은 감소

(실업률) 실업자(88.3만명)가 전년동월대비 6.2만명 감소하면서, 실업률은 3.5%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 실업자(만명): (‘12.11)71.0 (12)73.7 (’13.1)84.7 (2)99.0 (3)88.3

- 전년동월비(만명): △1.9 △1.8 △0.6 △5.3 △6.2

* 실업률(%): (‘12.11)2.8 (12)2.9 (’13.1)3.4 (2)4.0 (3)3.5

- 전년동월비(%p): △0.1 △0.1 △0.1 △0.2 △0.2

2) 취업자 동향

(산업별) 제조업은 취업자 증가폭이 확대된 반면, 서비스업은 취업자 증가폭 둔화

ㅇ 제조업은 지난달 설연휴로 크게 둔화되었던 취업자 증가폭이 다소 반등하며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12.3만명)

* 제조업 취업자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16.4 (12)11.2 (’13.1)15.6 (2)7.9 (3)12.3

ㅇ 서비스업은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되는 모습(+15.6만명)

* 서비스업 취업자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18.7 (12)25.2 (’13.1)22.0 (2)22.2 (3)15.6

- 보건·복지(+14.7만명), 전문과학기술(+4.8만명) 등은 높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도소매(△8.9만명), 금융보험(△2.6만명) 등에서 감소하며 전체적인 취업자 증가를 제약

ㅇ 건설업 취업자는 지난달에 비해 감소폭이 소폭 완화되었으나 8개월 연속 감소세 (△5.1만명)

* 건설업 취업자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3.5 (12)△8.2 (’13.1)△4.8 (2)△9.5 (3)△5.1

ㅇ 농림어업 취업자는 4개월만에 소폭 증가(0.5만명)

* 농림어업 취업자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2.5 (12)△1.2 (’13.1)△1.5 (2)△1.5 (3)0.5

(종사상 지위별) 상용직 중심의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

ㅇ 높은 수준의 상용직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반면, 임시일용직은 감소폭이 점차 확대

* 상용직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44.3 (12)45.8 (’13.1)52.3 (2)52.9 (3)61.1

임시일용직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15.1 (12)△19.1 (’13.1)△12.6 (2)△26.2 (3)△28.9

ㅇ 자영업자는 최근 3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감소폭도 점차 확대되는 모습

* 자영업자 증감(만명, 전년동월비): (‘12.11)3.8 (12)1.2 (’13.1)△2.1 (2)△1.5 (3)△4.8

3) 연령별 동향

(취업자 증감) 40대 이하의 고용여건이 다소 부진한 반면, 인구증감효과 등으로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취업자 증가 견인
(고용률) 취업자수 감소 등으로 청년, 40대 고용률이 전년동월대비 하락

ㅇ 특히, 청년층은 고용률(38.7%)이 전년동월대비 △1.4%p 하락하며 8개월 연속 고용률 감소세가 이어지는 모습

* 청년 고용률(%): (‘12.11)39.5 (12)39.3 (’13.1)40.0 (2)39.0 (3)38.7

- 전년동월비(%p): △0.7 △0.8 △0.8 △1.5 △1.4

2. 평가와 전망

지난달에 비해 취업자 증가폭이 다소 확대되었으나, 고용 둔화세가 지속되는 모습

ㅇ ‘13.2월 취업자 증가를 제약했던 설연휴 영향(경제활동인구조사 기간 중 연휴 포함)이 해소되면서 2월에 비해 전년동월대비 취업자 증가폭 확대

ㅇ 하지만, 예상보다 경기회복세 지연이 장기화되면서 노동시장 전반에 걸쳐 고용여건이 악화
- 기업 신규채용 감소, 내수 둔화 등으로 ‘12.4분기 이후 청년, 자영업자 등을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폭이 점차 확대
- 또한, 최근들어 입·이직 감소 등 노동시장내 일자리 이동도 감소

출처: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http://www.mofe.go.kr

기획재정부 소개
경제정책과 예산 및 세제 등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의 기능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주요 업무는 경제정책 방향의 수립과 총괄 조정, 예산 배분, 조세정책, 국고 국유재산 정부회계와 국가채무에 관한 관리, 외국환과 국제금융에 관한 정책 총괄, 대외협력과 남북경제교류협력 증진,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관리 감독 등을 담당한다. 재정경제부 국장과 한국개발연구원장을 역임한 현오석 부총리가 2013년부터 기획재정부를 이끌고 있다.

언론 연락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인력정책과
서진호
044-215-2812

ABN Newswire
ABN Newswire 검색 횟수:  (지난 30일간: 2) (게재 이후: 1565)